국제유가

(4월 3일/국제유가) : 지난 주 동향 및 금주 전망

케이A 2023. 4. 3. 09:05
728x90
반응형

 

<국제유가 동향과 전망>

 

1. 지난주 유가동향(3/27일~3/31일)

 

o 주간 Wti +6.4$, Brent +4.8$ 급상승

- 국제유가(전주말 대비)

o 지난 주 유가 요약

- 주 초반 : 금융불안/완화+원유/불안(송유관 중단),,급상승 출발

- 주 중반 : 긴축우려+차익/매도세,,조정

- 주 후반 : 금융안정+경기/수요 개선 기대(중국) 부각,,상승

 

2. 금주 유가동향(4/3~4/일)

 

o 주요이슈

- OPEC+ 자발적 감산 : 추가감산(-116만)

- 글로벌 경기지표 : 미/중/유럽 등 제조, 소비, 고용지표

- 미/원유 생산, 재고 동향

 

o 유가동향/전망

- 전주,,금융불안 완화, 원유/공급차질 이슈로 강한 상승동력 발동했고,,

- 중국/경기회복 기대감이,,달러불안을 제치고 상승력 뒷받침

- 2주연속 상승하며,,금융리스크발 폭락 이전 수준으로 회귀(Wti 75$)

 

- 금주는,,출발부터 요동을 치고 있습니다

- OEPC+ 회의에서,,사우디(-50만 감산)을 필두로 자발적 감산(-116만) 발표하며 +5$ 전후 폭등 출발

- 러시아(-50만 감산연장)에 대한 중동/산유국들의 화답성 조치인 듯

- 기존 -200만 감산에,,추가감산(-210만 수준)결정에 원유시장 불꽃쇼로 출발하게 합니다

- 미국의 대응, 글로벌 경기에 미치는 영향 등,,분석/전망에 따라 급등락/출렁임 오갈 수 있어 조심해야 될 듯

 

o 장외시장 : OPEC+ 추가감산 발표에,,+5$ 전후 폭등 출발

 

3. 국내유가 전망

 

(1) 환율 전망(전주말대비/주간 평균)

- 환율: 1,305 (+5.0원/ +5.8원)

- 미/긴축 전환우려=달러강세,,환율 1305원 전후 상승세 출발

 

(2) 국제 제품가

(주간변동/주간평균가)

- 주간(전주말 대비) : 전유종 -1$ 전후 하락,,원유시장 +5~6$ 급상승세와 달리 국제제품(현물시장)은 하락 유지

- 그러나,,국내 공가 산정 기준인 주간평균치는 무연 +3.5$ 전후, 경/등유 +0.5~1$ 내외 상승하며 공가 인상요인 작용

 

- 오늘은 +1~2$ 상승 예상이었지만,,

- 원유시장 및 미/유럽 제품시장 폭등 출발상황이라,,제품가도 급등부담을 안고 있습니다

 

(3) 국내 공장도 가격

 

o 금주(4/4일) 공가 예상

- 금주 공가는,,무연은 +30원 전후, 경유/등유는 +5~10원 인상 예상

 

o 담주(4/11일)는,,오늘 유가/제품가 급등 유지시 +40원전후까지 인상요인 발생 우려

 

o 주유소 판매가격(오피넷 기준) : 전주대비 무연은 상승전환,경/등유 하락 유지

- 금주는,,전유종 상승전환 예상(유가 폭등세 반영 예상)

 

3. 현물시장 동향

 

o 대부분 정유사들이 월말가/중단한 가운데,,일부/정유사만 오늘까지 월말가/미출 소식이 있습니다

- 다만,,현물에 대한 미출은 중단될 듯

 

o 최악으로 기록될 3월말/현물시장을 겨우겨우 넘기나 했으나,,

- 4월 시작과 함께,,갑작스런 돌발변수(추가감산)에 폭탄을 안은 상황입니다

- 유가가 순식간에 Wri/80$대로 진입하며,,4월 시장에 큰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

 

- 반면,,유가 폭등세가 5월 예정된 유류세/환원에는 걸림돌로 작용될 전망

- 경기/민생 불안 영향으로,,환원이 연기 목소리가 높아질 듯

- 그러나,,유가상황이 유류세/환원 만큼의 시장가격 상승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해서 살펴야 되겠습니다

 

- 확보된 재고를 최대한 아끼면서,,어려운 시기 잘 이겨내야 되겠습니다

 

o 격동의 4월을 꿈과 희망을 품고 이겨나가시죠,,!

 
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
프라임 이엄규 올림

 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