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유가

(5월 4일/국제유가) : 미/금리인상+금융리스크,,유가 폭락세 유지(-3$ 전후)

케이A 2023. 5. 4. 08:35
728x90
반응형

< 5월 3일자 유가동향 >

o 미/금리인상+금융리스크,,유가 폭락세 유지(-3$ 전후)

1. 국제유가

o 유가동향(전일/전주말 대비)

<상승요인>

o 미/파월 금리동결 사능성 시사 : 달러강세 둔화

o 미/소비, 고용지표 개선 : 경기침체 우려 완화

o 미/원유재고 감소

<하락요인>

o 경기/수요둔화 불안 : 미/중 제조지표 부진 영향 유지

o 미/FOMC : 금리인상(+025%), 올해 금리인하 어렵다(파월)

o 미/금융리스크 증가 : 지역/중소은행 파산불안 증가

<유가동향>

o 미/금리인상 및 금융리스크 불안 증가,,이틀연속 폭락세 유지

- 장외시장에서 미/금리조절론 기대감에 하방력 저항/방어력 보이다,,미/금리인상(+0.25%) 발표와 함께 급락 돌변

- 미/재고 감소, 소비/고용지표 개선 및 FOMC/파월의 금리동결 가능성 언급에 Wti/70$ 방어선 구축 모습 나오기는 했으나,,

- 파월의장의 "올해는 금리인하 어려울 것" 발언 나오며 또다시 급락

- 미/지역,중소은행들의 파산위험 소문들도 불안심리 부추기며 폭락세 지지

o 유가동향 및 전망

- 이틀연속 폭락(-10%)하며,, Wti는 70$ 아래로 추락

- 경기침체+미/디폴트 불안에,,금리인상/금융리스크 부가되며 원유시장 탈출 매도세 확대

- 하락 방어를 위한 특별한 모멘텀이 없어,,추세전환이 쉽지않아 보입니다

o 장외시장

- 미/지역,중소은행 파산 불안,,급락 출발(-1.5$ 전후)

- 일시/투매 폭탄에 -5$ 가까이 폭락(63.7$) 보인 후 하락폭 조정

2. 국내유가

o 환율동향

(전일대비/주간평균)

- 환율: 1,339 (-1.1원/ +1.4원)

- 달러강세 둔화,,환율은 1335원 전후로 소폭 하향/조정세

o 국제제품가(싱가폴)

(전일대비/주간평균)

- 원유 및 미/유럽 제품시장 급락세(-4~5%) 영향 받으며,,하락폭 확대(-5~6$)

- 오늘도 -2~3$ 급락세 유지될 전망입니다

o 담주(5/9일) 공가 예상

- 국제제품가 급락 및 환율/조정 효과,,담주 공가는 -60~70원 인하요인 확대

o 다담주(5/16일자) 공가 전망도,,-30~40원 인하요인 발생

3. 현물시장 동향

o 5월 첫주는,,주말가/확정가 형태로 시작

- 유가 폭락에 모든 것이 멈춰선 5월 첫 주간입니다

- 예상대로,,정유사들은 별다른 대응없이 주말가로만 시장정책 시작

- 수요가 많지 않은 시기라,,월말가/적용 시작해도 별반 의미는 없는 상황

- 담주 유가 및 시장/수요분위기 보면서 시장정책에 변화를 보일 듯 합니다

o 유가 폭락에 수요자/분위기는 어수선 하기만 합니다

- 비축재고가 많은 수요자들은,,유가 폭락세에 한숨이 늘어나는 반면,,

- 자금/저장능력 문제로 재고확보 못했거나, 재고회전이 빠른 수요자들은 유가하락을 반색하며,,매입시기 조절하는 모습들

- 유가 움직임에 희비가 엇갈리는 시장상황입니다

- 필요물량 위주로 대응하면서,,담주 시장전환 기다려야 되겠습니다

o 어린이날 연휴를 앞두고, 좋은 소식 가득한 하루 되십시요
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
프라임 이엄규 올림

 

 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