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10월 31일자/국제유가) : 중동불안/완화+경기/불안,,유가/하락 유지(-1.3$ 전후)
< 10월 31일자 유가동향 >
o 중동불안/완화+경기/불안,,유가/하락 유지(-1.3$ 전후)
1. 국제유가(전일/전주말 대비)
<상승요인>
o 중동리스크/경계 유지 : 이스라엘/지상공격 지속=이란/이라크 반발
o 달러강세 둔화 : 미/FOMC=금리동결 유지 전망
<하락요인>
o 중동불안/완화 : 하마스 인질/석방, 휴전 도모설
o 중/경기지표 부진 : 내수지표 부진=경기/수요불안 부각
o 미/원유생산 증가 : 일/생산량 1300만=2019년말 이후 최고치
<유가동향>
o 중동불안/완화 및 중/경기지표 부진소식에,,유가는 이틀 연속 하락
- 장외시장에서는,,달러/하향안정세 및 전날 급락에 대한 반발/매수세에 상승흐름(+1$ 전후)을 보였으나,,
- 개장후,,하마스/인질석방 및 중/경기지표 부진, 미/산유량 증가 소식 나오며 하락 전환
o 유가동향 및 전망
- 중동리스크/이슈는,,예상대로 원유시장/투자포인트에서 조금씩 멀어져 가는 모습입니다
- 하마스=인질/석방 내세우며 이렇다할 반격을 못하고 휴전/도모설 나오고 있고,,
- 이스라엘/공격 확대에도 이란/이라크 등 반발/제스처 나오지만,,군사적/행동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모습
- 중간중간 돌발이슈로 투기성/급발진 움직임 나올수 있겠으나,,중동리스크/영향력은 서서히 약화될 전망
- 중동이슈 빈자리를 달러/변동성(FOMC) 및 경기전망(미/중/유럽)이 자리를 차지할 듯 합니다
- 경기/수요부진 Vs 달러안정+경기개선 기대 등 등락/변수들이 공존하고 있어 주의해서 살펴나가야 되겠습니다
o 장외시장 : 중동/경계+달러/약세=저가/매수세,,소폭 반등 출발
2. 국내유가
o 환율 : 1349.6원(-3.2원)
- 달러/강세 둔화,,환율은 1350원 전후 유지
o 국제제품가(전일대비/주간평균)
- 전날/유가급락(-3.2$)에 비해,,국제/제품가는 예상대로 하락폭 제한
- 오늘도,,-1$ 전후 하락유지를 기대/예상하지만,,
- 어제,,미/유럽 제품시장이 상승흐름 나온 상황이라 하락폭 제한 가능성 남아있습니다
o 담주(11/7일) 공가 예상
- 담주 공가는 -20~30원 전후 인하요인 유지
3. 현물시장 동향
o 다사다난의 10월 넘기고, 새로운 11월의 출발입니다
- 정유사들,,아직 이렇다할 월초/시장운영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유보한 모습이지만,,
- 월말가/시장에서의 부진했던 판매/출하 영향으로,,월말가/미출 진행하며 금주시장 유지해 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
- 그러나,,중동/완화=유가하락=시장가격 인하를 예상하는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높아 미출시장도 한가진 흐름 전개될 전망입니다
o 11월 시장에 대한 지나친/낙관론이 넘치는 분위기를 경계해야 되겠습니다
- 중동불안 속에서도 유가/폭등세 연결되지 않으며,,상대적으로 하락/분위기를 가지게 하지만,,
- 실상,,유가는 중동불안/이슈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 뿐입니다
- 9월/중순 Wti/90$를 넘나들던 유가가,,9월말~10월초 80$ 초반까지 급락세 보이다 중동이슈에 하락이 멈췄다고 보는게 맞는 표현일 듯
- 흐름상,,중동이슈로 약세모습 끊기며 11월 유가방향성 어렵게 할 수 있어 경계 필요
- 시장/분위기에 휩쓸리기 보다는,,불확실성을 경계하는 중립적/대응을 권해드립니다
o 희망과 파이팅이 넘치는 11월 되십시요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프라임 이엄규 올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