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11월 6일자/국제유가) : 원유/공급불안 Vs 경기/수요 우려,,등락/공방(소폭 상승)
< 11월 6일자 유가동향 >
o 원유/공급불안 Vs 경기/수요 우려,,등락/공방(소폭 상승)
1. 국제유가(전일/전주말 대비)
<상승요인>
o 중동불안/경계 : 이스라엘/지상전=가자지구 공격 지속
o 원유/공급불안 : 러/사우디 감산유지, 미/의회=이란제재 유지
o 달러 약세 : 미/금융정책 전환(인하) 기대
<하락요인>
o 중동불안/진정 : 국지적/장기전 고착=중동전/확전 불안 약화
o 경기/수요위축 우려 유지
<유가동향>
o 원유/공급부족 Vs 경기/수요불안 공방,,등락/변동성 출발
- 장외시장에서는,,중동/경계 및 달러약세에 저가/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출발
- 개장 초반,,러/사우디의 감산유지 시사와 이란/제재 소식들로 원유/공급부족 부각되며 상승 확대(+1.7$)
- 그러나,,장후반들어 국제정세/불안=경기악화로 원유/수요위축 전망나오며 상승폭 반납모습으로 마감
o 유가동향 및 전망
- 예상대로,,중동상황이 국지적/장기전 모드로 전환되며 중동/불안 이슈는 투자관심에서 한발짝 물러난 원유시장입니다
- 전통적 등락/변수인 원유수급 이슈가 유가방향성 결정하는 모습
- 중동/돌발상황이 나오지 않는다면,,원유/공급부족 Vs 경기/수요위축의 오르내림/공방 진행 될 듯합니다
- 국제정세/악화 및 미/중 경기지표 부진 등 경기/수요위축 불안이 투자심리를 압박하며 하향/우위 흐름이 강한 상황
- 그러나,,러/사우디가 감산연장을 꺼내들고 공급부족 군불을 때고 있고,,
- 미/금리인하 전망(달러약세) 등 방어력도 나오고 있어 유가흐름 잘 살펴나가야 되겠습니다
o 장외시장 : 중동/경계+달러약세 Vs 경기/수요 불안,,경계흐름 출발
2. 국내유가
o 환율 : 1303.2원(-22.6원)
- 미/금리인하 기대=달러약세,,환율은 1300원 전후로 하락
- 3일동안 원화가치 50원 전후 절상되며,,예상치 못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
- 환율/-50원 하락은,,국내/공가 -30~40원 인하요인 효과
o 국제제품가(전일대비/주간평균)
- 예상/기대대로 국제제품가는 -2~3$ 하락(무연은 하락폭 제한)
- 오늘은 +1~2$ 전후 상승부담이 있습니다
- 어제 오후장,,미/유럽 제품시장의 상승세 보이며 싱가폴/제품시장 영향 예상
o 금주(11/7일) 공가 발표
무연 1,820원 (-18원▽)
경유 1,810원 (-24원▽)
등유 1,421원 (-20원▽)
- 예상범위 수준의 공가인하 발표
o 담주(11/14일) 공가 예상
- 담주 공가는 무연은 -15원 전후, 경/등유는 -20원 전후 인하요인 출발
- 국제/제품가 영향보다는,,환율하락에 따른 인하요인 증가
3. 현물시장 동향
o 오늘부터,,일부/정유사를 시작으로 월말가/적용 시작되었습니다
- 정유사들,,가격/방어에 주력하면서도 판매/출하를 위한 시장정책변화 진행
- 대리점들은,,지난주 부터 유가하락 및시장가격 인하를 예상하고 공격적 판매를 유지하고 있어,,
- 시장가격은 정유사/대리점간 상당한 괴리감 나올 수 있어 잘 확인하면서 매입/재고계획 세워야 되겠습니다
o 유가/제품가 변동성보다는,,환율이 의외의 복병으로 나서며 판단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
- 순식간에 -50원 전후 급락하며,,시장가격 기준점인 국내/공가를 -30~40원 인하요인으로 작용
- 시장가격의 가늠자인,,유가/제품가/환율까지 모두 단기적/급등락 위험성 높은 만큼 경계감 유지하며 대응해야 되겠습니다
o 좋은 하루 되십시요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프라임 이엄규 올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