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9월 23일자/국제유가) : 중동/불안 Vs 경기/수요 우려,,유가/하락(-0.6$ 전후)
< 9월 23일자 유가동향 >
1. 국제유가(전일/전주말 대비)
< 23일 유가동향 >
o 중동/불안 Vs 경기/수요 우려,,유가/하락(-0.6$ 전후)
- 장외시장에서부터,,중동/긴장상황 Vs 경기/불안(유럽) 소식 겹치며 등락/공방 진행
- 개장/후에는,,미/유럽 경기지표 부진에 차익/매도세=급락(-1.5$)을 보였으나 중동/상황 악화 소식에 하락폭 제한 마감
o 상승요인
- 중동/정세 악화 : 이스라엘/헤즈볼라 충돌 격화
- 미/금리인하 효과 기대 유지 : UBS=경기/회복세 전환 전망=뉴욕증시 상승
o 하락요인
- 경기/수요불안 : 미/유럽 경기지표 부진=수요둔화 우려
- 중동/긴장 제한 : 이란/대통령=확전 원하지 않는다
< 유가동향 및 전망 >
o 예상대로,,유가는 중동정세 및 경기/수요 변수 등 등락/이슈에 따라 출렁이는 변동장세로 출발
- 미/빅컷 금리인하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되고는 있으나,,경기지표들은 둔화쪽을 나타내고 있어 불안감 상존
- 이란/대통령의 립서비스(확전 반대)도 유가상승력을 약화 요인
- 다만,,이스라엘/독불장군식 공격 및 미/추가 금리인하 전망 등은 유가/하방력을 막는 변수로 작용
- 위도 막히고, 아래도 막히며,,Wti/70$를 사이에 두고 ±2~3$ 공방 진행될 듯
- 유가흐름 잘 살피면서,,신중한 대응 필요
o 장외시장 : 중동/정세 Vs 경기/수요 전망 교차,,경계/조정흐름 출발
2. 국제제품가(전일대비/주간평균)
- 예상/기대했던 바,,소폭 하락세로 출발
- 오늘은,,-0.5~1$ 전후 하락 기대
- 어제/오후장,,유가 및 미/유럽 제품시장 하락세 나오며 싱가폴/제품시장 영향 예상
3. 국내/시장동향
(1) 환율(9/23일) : 1336(+6원)
- 달러/안정,,환율은 장중 1340원 전후까지 상승하며 부담이 컸으나,,
- 역외환율 1335원 전후로 조정되며 부담 완화
(2) 담주(9/30일) 공가 예상
- 담주/공가는,,무연은 +15원 전후, 경/등유 +5원 전후 인상으로 출발
- 유가/제품가 상승세는 꺽였으나,,환율/상승이 인상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
(3) 현물시장
o 오늘부터 대부분/정유사들 월말가 진행 예상입니다
- 추석/연휴주간 상승세 유지되며 부담을 주었던 유가가,,금주 조정모습 나오며 다소 안도감을 주고 있습니다
- 시장가격은,,2주차/월말가 적용 수준대로 출발 예상
- 다만,,무연은 공가상승 및 재고부족=출하제한 영향으로 가격인상 모습 나오고 있어 세심하게 살펴야 될 듯
o 금주,,가장 큰 핵심은 (재고를 얼마나 채울 것인가?) 입니다
- 현재의 유가 및 주유소/판매가 수준을 놓고 본다면,,11월 유류세/인상이 확실시 되고 있은 상황(인상폭의 문제만 남은 듯)
- 11월 유류세/인상을 가정할 때,,매입 타이밍은 (9월/월말가, 10월/2주차 예상되는 월말가/적용) 2번의 싯점을 놓고 고민 필요
- 경험적으로,,유류세/인상 발표와 동시에 정유사들 출하/가격을 모두 옥죌 수 있어 대비 필요
- 개인적/소견으로는,,이번 9월/월말가 시기를 매입타이밍으로 추천
- 현재 시장가격은 유가/65~70$ 수준에서의 가격대로 최근 2년래 최저수준인 상황
- 일부/정유사가 재고부족으로 판매/출하가 원활치 않는 상황인 점도 시장가격에는 악재이고,,
- 경기/수요침체발 유가/하방압력 높은 편이나,,미/금리인하, 중동/불안 등으로 하방력/제한받는 상황도 고려 필요
- 안전한 재고운영을 고민해야 될 싯점이 아닐까 싶습니다
o 좋은 하루 되십시요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프라임 이엄규 올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