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유가(Crude Oil/4월 7일) : 지난 주 유가동향 및 금주 전망
<국제유가 동향과 전망>
1. 국제유가
(1) 지난 주(3/31일~4/4일) 동향
o 전주 : 주중반까지 상승세 보이다,,미/관세공포=패닉셀 나오며 폭락
- 상승요인 : 원유/공급우려(이란/베네주엘라 제재, OPEC)
- 하락요인 : 미/관세=경기침체 공포/패닉셀, OPEC/증산
(2) 금주 유가전망(4/7일~4/11일)
o 주요이슈
- 글로벌/경제전망 : 미/관세 후폭풍, 미/중 무역전쟁 우려
- 국제정세 : 러/우크라(휴전협상), 중동(이스라엘)
- 달러/변동성 : 미/FOMC회의록
- 원유수급 : 미/재고동향
o 금주 유가전망
- 금주에도,,미/관세 후폭풍이 시장을 지배할 전망입니다
- 미/관세=경기침체/공포에 모든 투자시장(주식, 원자재, 코인 등)들이 폭락세 보이고 있고, 안전자산인 금시세도 급락하며 공포심리 유지
- 미/관세정책 강행 방침 속,,중국 및 유럽/아시아 등 관세대응 및 협상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패닉셀/유지 Vs 진정/반등세 판가름 날 듯
- 국제정세(중동(이스라엘, 이란, 후티 등), 러/우크라) 및 OPEC/대응, 달러동향(미/FOMCd) 등도 눈여겨 봐야 될 변수
- 패닉상태의 하락장 흐름이지만,,급변위험 대비하며 신중히 살펴나가야 되겠습니다
o 장외시장 : 미/관세공포 유지,,-2$ 전후 급하락세 유지 출발
2. 국제제품가(주간변동/주간평균가)
- 주간기준(전주말 대비)으로는,,경기/수요침체 공포,,-5~6$ 폭락
- 주간평균(국내 공가 산정 기준)은,,-0.5~1$ 전후 소폭 하락,,목/금 폭락세는 금주 평균시세에 영향력 발현
- 오늘도,,-1~1.5$ 전후 하락장 유지 예상(유가/급락 진행시 하락폭 확대될수 있어 주의 필요)
3. 국내 유가동향
(1) 금주/환율 : 1460~1470원대의 상승부담 발생
- 미/금리정책(금리인하 후퇴)=강달러 전환 우려에 1460원 전후 상승출발 예상
(2) 국내 공장도 가격
o 금주(4/7일) 공가 발표 : 예상대로 -5~10원 전후 인하
o 담주(4/14일) 공가는,,전유종 -60~70원 인하요인로 출발
- 금주 유가/제품가 -2~3% 하락출발을 보이며 인하요인 증가
o 주유소 판매가격(오피넷 기준) : 8주연속 하락=하락폭은 -5원 전후로 축소
- 전주후반/유가폭락 사태에,,주말부터 달리는 주유소 나타나며 하락폭 확대 우려
(3) 현물시장
o 유가폭락 이어지며,,금주 월말가/적용을 기다리고 있는 분위기
- 코로나 이후 최대의 하락장을 보이는 상황이라,,정유사들 평소대로의 시장정책 진행할지 지켜봐야 되겠습니다
o 담주(4/14일),,워낙에 큰 공가/인하요인(60~70원)을 안고 있어 시장은 이래저래 관망의 시간이 될 듯 합니다
- 유가상황 및 정유사 시장정책 결정을 보면서,,매입/재고 판단해 나갈 전망
- 공가/변수로만 놓고 보면,,시장/공급가격은 3월말 시장가격보다 낮아져야 정상이겠지만,,
- 정유사들,,1분기/적자에 이어, 2분기 출발도 수익악화 흐름으로 진행되며 고심이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
o 이제는 잊고있던 유류세(무연 122원, 경유 133원)도 경계를 해야 될 듯 합니다(5월초)
- 국내정세(대선정국), 경제위기(미/관세) 등으로,,유류세/인상을 결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,,
- 국제유가 Wti/60$ 전후까지 내려앉은 수준이라,,정책발표 전까지는 안심할수 없게 되었습니다
o 여러 복합변수들로 어지러운 주간입니다(유가흐름, 환율, 국내외/정세, 정유사/시장정책, 유류세 등)
- 어느것 하나 쉽게 놓쳐서는 안되는 변수들이라,,경계심 가지고 신중히 대응해 나가십시요
o 화이팅한 한주 되십시요
유류/윤활유의 올바른 판매기준을 꿈꾸는
프라임 이엄규 올림